반응형 알기 쉬운 과학 이야기46 레이더(전파 탐지기)의 원리 오래전부터 비행기를 탈 때마다 한 가지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다. 이륙 전 모바일 폰의 비행기 모드를 유도하는 방송이 나오는데, 비행기 모드로 변환을 유도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리고 정말 영향을 미치는 걸까? 하는 것이다. 이륙과 착륙 시에는 관제탑과 많은 통신을 하는데 아주 작은 실수나 사고가 큰 인명피해로 이어지기 때문에 60~70년대부터 전자기기의 전원 OFF를 유도했었다.실제로 전자기기의 사용으로 인해 비행 사고가 보고된 적은 없지만 신호의 교란 보고는 몇 차례 있었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비행기 모드를 켜지 않았을 때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전파가 조종사의 통신 시스템에 영향을 안 준다고는 할 수 없으며 따라서 혹시 모를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비행기모드를 유도한다고 보면 되겠다. 하늘에는 육지와 같이.. 2024. 8. 5. 인간을 대신해 우주를 탐험하는 우주 탐사선 인류의 우주 탐사선은 1950년대에 최초 발사 이후로 현재까지 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아직은 태양계 연구에만 사용되고 있다.현재는 보이저호와 파이오니어호가 최근 명왕성 궤도 너머 태양계의 바깥까지 나간 것이 고작이다. 1. 우주탐사선궁극적인 한계 거리에서도 무인 우주 탐사선과의 통신이 가능해서 태양계 내의 모든 행성을 비롯 혜성, 위성, 왜소 행성의 정밀한 사진과 정보를 받아보고 있다.우주 탐사선은 행성이나 위성을 선회하면서 싣고 간 착륙선으로 수집한 지질과 대기에 관한 데이터와 먼 세계와 그 표면을 근접 촬영한 사진을 전송해 준다. 탐사선은 지나는 경로에 있는 행성의 중력이 당기는 힘을 이용해 우주선의 속력을 높이는 우주 궤도 비행으로 연료 없이도 태양계 가장 먼 곳까지 날아가고 있다. 탐사선과 주고받.. 2024. 8. 2. 비행기가 하늘에서 길을 찾아가는 원리 최근 자동차의 경우 반자율주행이 대중화되고 있지만 비행기의 경우 이미 오래전부터 자율주행이 가능했다.이제는 사람이 직업 운전하는 것이 오히려 사고의 위험 확률이 올라간다고 할 정도다. 1. 자동 비행 통제 장치(AFCS)현대에 와서는 비행기를 사람이 수동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조종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졌다. 그만큼 자동 비행 통제 장치의 발달로 인해 항공기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향상했다는 것이다. 항공기 유도 시스템은 통제 장치를 작동하여 항로를 유지하고 항공기의 편류를 바로잡도록 하는 장치로 2가지 주요 부분이 있다. - 오토파일럿(Auto Pilot)조종사가 미리 입력해 둔 데이터에 따라 자동으로 방위, 자세, 고도 등을 유지시켜 준다.- 자동 조종 장치항공기의 안.. 2024. 8. 1. 비행기는 어떻게 하늘을 날 수 있을까? 비행기라는 무거운 쇳덩어리는 어떤 원리로 하늘을 나는 걸까? 열기구나 비행기는 무거운 자신의 무게를 이겨내고 공중에 떠 있기 위해서 상승력이라는 것을 발생시킨다.그러나 다른 물체가 하늘을 날기 위해서 열기구나 비행선과는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 비행기가 공중에 떠 있기 위해서는 추진력이라는 것이 필요한데, 프로펠러나 제트엔진 등과 같은 장치를 이용해 필요한 추진력을 제공한다.무거운 물체의 비행에 있어서는 두 가지 원리가 있는데,동력선을 추진시키는 원리인 "작용과 반작용" 그리고 "흡인력"이 그것이다.- 작용과 반작용한 물체가 다른 물체에 힘을 적용하면 다른 물체도 똑같은 힘으로 반응하는 법칙입니다.-흡인력빨아들이거나 끌어당기는 힘.(비행기에서는 양력이라고 하며 날개의 윗면과 아랫면의 기압 차 때문에 생긴다.. 2024. 7. 29. 이전 1 ···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