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20

자동차 안전벨트의 원리

자동차 사고 발생 시 안전벨트를 했느냐 안 했느냐에 따라 그 피해의 차이는 엄청난 차이가 난다. 착용 여부에 따라 생존율이 50%까지 차이가 난다는 통계도 있을 정도다. 이토록 중요한 안전벨트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자. 안전벨트에는 종류가 어려가지 있다.1. 안전벨트 종류2 점식 안전벨트, 3 점식 안전벨트, 4 점식 안전벨트가 있으며 이는 몸을 지지해 주는 지주점 수를 의미한다. 자동차는 앞 좌석은 모두 3 점식이며, 뒷좌석은 3 점식 또는 2 점식으로 되어 있고 비행기는 2 점식으로 되어있다. 참고로 3 점식 안전벨트의 최초 개발은 1958년 볼보사의 닐스 볼린이라는 엔지니어였다. 그리고 이 기술을 인간의 안전과 관련된 것으로 무상으로 배포했기 때문에 현재 모든 자동차에 보급될 수 있었다.볼보사가 지금..

휘발유 엔진의 원리

이제는 전기차의 시대가 오고 있고 이미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역사가 오래되었다. 어찌 보면 지금의 전기차가 클래식한 휘발유 방식의 자동차 엔진에 비해 개발이 더 쉬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도대체 누가 처음 휘발유 엔진을 생각했고 만들어 낸 것일까? 그리고 원리는 무엇일까? 1. 엔진의 역사휘발유 엔진의 경우 1876년 독일의 니콜라우스 오토에 의해 개발되어 20세기 초에는 다양한 디젤과 가솔린 자동차 모델이 생산되었다.2. 엔진의 원리2-1. 흡입 행정실린더 안에 있는 피스톤이 아래로 내려가면 흡기밸브라는 것이 열린다. 열린 이곳으로 연료와 공기가 뒤섞인 혼합기가 실린더 안으로 뿜어진다.2-2. 압축 행정열렸던 흡기밸브가 닫히며 피스톤이 위로 올라가고 혼합기가 압축된다.2-3. 폭발 행정점화 스파크가 ..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의 원리

지하철을 탈 때, 고층 빌딩에서 올라가고 내려갈 때와 같이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를 항상 이용하고 있다. 이제는 이 2가지가 없는 일상생활은 생각할 수 없을 정도다. 2가지 모두 도르래와 평형추를 이용한 승강 장치인 공통점이 있다.1. 에스컬레이터의 원리기본 원리는 위쪽 끝에 전기모터가 있고 이와 연결된 순환 벨트의 움직임에 의해 계단이 올라가고 내려간다고 할 수 있다. 모터는 에스컬레이터의 첫 부분에 부착되어 있으며, 난간 레일 구동 벨트를 사용하여 구동바퀴와 이어져 돌아가면서 계단을 움직인다. 각 계단은 연속된 벨트에 장착되어 있으며, 에스컬레이터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있는 두 개의 구동 기어 주위를 회전한다. 에스컬레이터의 속도는 보통 시속 0.3m ~ 0.6m 사이다.  에스컬..

음주 측정은 어떻게 가능한 걸까?

우선  음주 후 운전은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의 생명까지 위험에 빠트리는 해서는 절대로 안 되는 것이라는 것 먼저 얘기해 본다. 음주 운전 단속 시 운전자가 음주를 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경찰은 휴대용 음주 측정기를 사용한다.수치의 결과에 따라 훈방, 면허정지, 면허 취소의 조치가 이루어진다. 아무튼 음주 측정은 위에 그림과 같이 길쭉한 빨대 부분에 입을 대고 큰 숨을 꽤 오랫동안 불어넣으면 수치가 화면에 나오며 측정이 끝난다. 어떤 원리가 숨어있는지 알아보자!1. 음주 측정 원리술을 마시면 폐에 흡수된 알코올은 미처 분해되기 전에 빠져나가게 되는데 숨을 내쉴 때 술 냄새가 나는 건 이 때문이다.음주측정기는 이 날숨에 포함된 알코올을 측정하고 몸 안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산술 적으로 추산해 수치로 보여주는..

보안 스캐너의 원리

공항에서 출국과 입국하는 과정에서 보안 스캐너 통과와 기내 수하물 검사를 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어떤 경우에는 주머니 속을 다 비웠다고 생각했지만 "삐~" 소리가 나면서 당황하게 만들기도 하는 보안 스캐너의 원리는 과연 무엇일까?  공항이나 보안이 요구되는 건물의 출입 시 전신 바디 스캐너를 이용해 의심스러운 물건을 휴대하고 있는지 여부를 탐지해 낸다. 이때 바디 스캐너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고주파수를 이용하며, 그 이유는 파장이 멀리까지 나가지 않고 근접한 거리에 적합하며 옷과 피부&생체 조직을 투과할 수 있기 때문에 옷 속이나 신체 내부에 숨긴 물체를 찾아내는데 용이하다.1. 스캐너고주파를 발사하고 반사되어 돌아온 전파를 수신하는 장치를 말한다. 전파는 옷을 통과할 수 있고 옷 안에 있는 물건이나 ..

수중 음파 탐지기(SONAR)

잠수함이 나오는 소련과 미국의 전쟁 영화에서 많이 봤던 소나라고 하는 수중 음파 탐지기의 원리는 무엇일까?  수중 음파 탐지기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이 독일의 잠수함을 탐지하기 위해 처음으로 개발된 기술이다. 음파를 이용해 물체를 탐지하는 장치를 음파 탐지기 라고 하며, 레이더와의 차이점이라면 레이더는 전자기파를 사용하지만 주로 수중에서는 음파를 사용한다. 이는 빛이나 다른 파동보다 물속에서 훨씬 먼 거리까지 전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물속에서는 멀리까지 보이진 않지만 소리는 들린다는 이야기다. 이를 이용해 수심을 측정하거나 물고기를 찾거나 지형을 조사하는 등 여러 곳에서 활용되고 있다.1. 변환기변환기는 어떤 신호를 다른 형태의 신호로 바꿔주는 장치를 말한다. 수중 음파 탐지기의 경우에는 선..

레이더(전파 탐지기)의 원리

오래전부터 비행기를 탈 때마다 한 가지 궁금증을 가지고 있었다. 이륙 전 모바일 폰의 비행기 모드를 유도하는 방송이 나오는데, 비행기 모드로 변환을 유도하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리고 정말 영향을 미치는 걸까? 하는 것이다. 이륙과 착륙 시에는 관제탑과 많은 통신을 하는데 아주 작은 실수나 사고가 큰 인명피해로 이어지기 때문에 60~70년대부터 전자기기의 전원 OFF를 유도했었다.실제로 전자기기의 사용으로 인해 비행 사고가 보고된 적은 없지만 신호의 교란 보고는 몇 차례 있었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비행기 모드를 켜지 않았을 때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전파가 조종사의 통신 시스템에 영향을 안 준다고는 할 수 없으며 따라서 혹시 모를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비행기모드를 유도한다고 보면 되겠다. 하늘에는 육지와 같이..

인간을 대신해 우주를 탐험하는 우주 탐사선

인류의 우주 탐사선은 1950년대에 최초 발사 이후로 현재까지 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아직은 태양계 연구에만 사용되고 있다.현재는 보이저호와 파이오니어호가 최근 명왕성 궤도 너머 태양계의 바깥까지 나간 것이 고작이다. 1. 우주탐사선궁극적인 한계 거리에서도 무인 우주 탐사선과의 통신이 가능해서 태양계 내의 모든 행성을 비롯 혜성, 위성, 왜소 행성의 정밀한 사진과 정보를 받아보고 있다.우주 탐사선은 행성이나 위성을 선회하면서 싣고 간 착륙선으로 수집한 지질과 대기에 관한 데이터와 먼 세계와 그 표면을 근접 촬영한 사진을 전송해 준다. 탐사선은 지나는 경로에 있는 행성의 중력이 당기는 힘을 이용해 우주선의 속력을 높이는 우주 궤도 비행으로 연료 없이도 태양계 가장 먼 곳까지 날아가고 있다. 탐사선과 주고받..

비행기가 하늘에서 길을 찾아가는 원리

최근 자동차의 경우 반자율주행이 대중화되고 있지만 비행기의 경우 이미 오래전부터 자율주행이 가능했다.이제는 사람이 직업 운전하는 것이 오히려 사고의 위험 확률이 올라간다고 할 정도다. 1. 자동 비행 통제 장치(AFCS)현대에 와서는 비행기를 사람이 수동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조종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졌다. 그만큼 자동 비행 통제 장치의 발달로 인해 항공기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향상했다는 것이다. 항공기 유도 시스템은 통제 장치를 작동하여 항로를 유지하고 항공기의 편류를 바로잡도록 하는 장치로 2가지 주요 부분이 있다. - 오토파일럿(Auto Pilot)조종사가 미리 입력해 둔 데이터에 따라 자동으로 방위, 자세, 고도 등을 유지시켜 준다.- 자동 조종 장치항공기의 안..

비행기는 어떻게 하늘을 날 수 있을까?

비행기라는 무거운 쇳덩어리는 어떤 원리로 하늘을 나는 걸까? 열기구나 비행기는 무거운 자신의 무게를 이겨내고 공중에 떠 있기 위해서 상승력이라는 것을 발생시킨다.그러나 다른 물체가 하늘을 날기 위해서 열기구나 비행선과는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 비행기가 공중에 떠 있기 위해서는 추진력이라는 것이 필요한데, 프로펠러나 제트엔진 등과 같은 장치를 이용해 필요한 추진력을 제공한다.무거운 물체의 비행에 있어서는 두 가지 원리가 있는데,동력선을 추진시키는 원리인 "작용과 반작용" 그리고 "흡인력"이 그것이다.- 작용과 반작용한 물체가 다른 물체에 힘을 적용하면 다른 물체도 똑같은 힘으로 반응하는 법칙입니다.-흡인력빨아들이거나 끌어당기는 힘.(비행기에서는 양력이라고 하며 날개의 윗면과 아랫면의 기압 차 때문에 생긴다..

반응형